누구도 결코 원하지 않는 별거와 이혼은 어른들 뿐만 아니라 자녀들도  큰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이혼에 따르는오랫동안 안정과 신뢰에 기반으로  형성된 가족 및 친척관계나  친구관계, 학교환경 등의 큰 변화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스트레스에 취약한 연령이거나 민감한 성격을 가졌을 경우 훨씬 더 큰 심리적인 혼란과 부적응적인 행동을경험한다. 그러나 이혼 전후에 걸쳐 자녀들이 경험할  스트레스를 미리 예측하고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면  자녀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먼저 자녀들이 받게 되는 스트레스는 타고난 기질 및 성격, 연령에 따른 발달정도 및 이전의 가족안에서의 경험, 신체적인 건강 등에 의해서 크게 달라진다는 사실을 염두해 둘 필요가 있다. 가령, 민감한 아이는 변화에 큰 스스트레스를 경험할 수 있고 , 나이가 어릴 수록 변화에 취약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이전에 부모와  관계정도 역시  적응에 크게 작용한다. 만약  별거나 이혼 이전에 자녀가 어떤 아이였고, 어떤 상황에 있었는지를  알고 있으면, 개인이 지닌 독특한 상황에 맞추어 적절한 지도를 해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혼과 같은 큰 변화가 생기기 전에 자녀들에게  어떤 변화를 일어날 것인지 미리 자세히 알려주는 것이 좋다. 12세 미만의 자녀들은 가시적인 현실이 중요하기 때문에 어디에서 살게 되고, 어떤 학교에 가게 되며 어떻게 양 부모와 시간을 보내게 되는지 등 구체적으로 말해줄 필요가 있다. 자녀들이 앞으로 어떤 변화를 겪을지 모를 경우 상황을 더욱 부정적으로 해석하고 상상하기 때문에 적응에 더욱 힘들수 있기 때문이다.

이혼은 어른들이 최종적으로 결정해야하는 중요한 문제이지만 자녀들의 생각 역시 배려되어야 한다.   자녀들의 생각이 결정에 반영된다면 큰  변화에 따른 무력감이나 불안감, 죄책감을 덜 어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는데 도움이 된다. 아이들의 의견을 물어볼 때는 부모가 함께 자녀들의 생각을 들어야한다. 조심할 것은별거이든 이혼이든 어느 부모와 함께 살기를 원하는지와 같은  질문은 피해야한다.

또한 이혼에 따르는 자녀들이 경험하는  사회적인 환경 변화에 대한 관점이다. 환경 변화에 따르는 정서적 혼란과 행동양식의 변화와 더불어 이혼한 가정의 아이들과는 거리를 두게 하는 사회적인 편견 때문에 생길 수 있는 친구관계 문제는 혼자 처리하기 힘든 문제들이다. 이런 상황을 부모에게 말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부모에게 고통을 주지 않기 위해서 침묵하고 혼자 힘들어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험은 자녀들의 자존감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부모는 자녀들에게  어떤 상황에서라도 항상 사랑받는 귀중한 존재임을 확인해주어야 하고, 주변 환경에 적응하는데 적극적인 도움을 주어야한다.

또한 자녀들은 부모의 이혼과 상관없이 항상 사랑받고 보호받는 귀중한 존재로서 양쪽 부모의 갈등 사이에서 희생양이 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야한다. 가령, 자녀앞에서 상대 부모를 비방하는 말을 하거나, 자녀로 하여금 양 부모의 다리 역할을 하게 하거나, 자녀와 상대 부모와 문제가 생겼을 경우 편을 들거나, 자녀를 통해서 서로의 사생활을 캐너나 비밀로 지킬 것을 원하는 것과 같은 것들은 자녀의 갈등과 혼란을 유발하기 때문에 피해야 할 것들이다. 자녀에 대한 문제는 노련한 사업동반자와 같은 자세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자녀가 겪는 정서적인 문제들 가령, 슬픔, 두려움, 분노, 좌절감, 죄책감 등은 어린 나이에 처리하기는 너무나 큰것들이다. 이런 정서적인 문제를 적절히 표현하고 해소할 수 없을 경우 개인의 무의식에 깊게 상처로 기억될 뿐만 아니라 각종 비행으로 연결되기 쉽기 때문에  이런 문제들로 힘들어할 경우 전문적인 서비스를 찾아서 적절히 대처해야한다.

일반적으로 이혼이 일어나는 상황에서는 어른 역시 심한 정서적인 혼란을 겪게 되기 때문에 자칫 자녀들이 겪게 되는 문제에 대해서 소홀하거나, 때로는 본의아니게 자신의 정서적인 문제를 자녀에게 투사함으로서 이중으로 상처를 주기 쉽다. 그러나 가장 힘든 순간일수록  냉정하고 합리적인 자세로 어른과 자녀의 문제를 구분하려고 노력하고 적절히 대처한다면 자녀가 받은 스트레스와 상처는 많이  줄어들 수 있다고 생각된다.

Tagged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