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자녀들은 부모의 말을 신뢰하고 따르지만 반면에 부모의 약점을 이용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어내려는 자녀들도 적지 않다. 인터넷에서 게임을 못하게 하는 부모에게 다른 부모들은 내버려두는데 왜 그러느냐고 따지는가 하면, 친구들과 어울려 다니면서 마약을 하는 아이에게 나가지 못하게 하자 학교를 그만두겠다고 윽박지르기도 하고, 샤핑 몰에서 명품 지갑을 못 사주겠다고 거절하는 부모에게 부모로서 제대로 된 지갑하나 사주지 못할 정도로 능력이 없느냐고 남들 앞에서 무안을 주는 아이들도 없잖아 있다. 만약, 부모들이 자녀들이 이용하는 이런 술수를 이해하지 못하면 쉽게 그 함정에 빠질 수 밖에 없다. 다음은 자녀들이 부모를 조정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방법들과 대책이다.

첫째, 부모를 화나게 함으로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어내는 방법이다.
가령, 부모가 인터넷을 그만하고 숙제를 하라고 하면 얼굴을 찌푸린다거나, 책상을 주먹으로 쿵 친다거나, 집안이 흔들릴 정도로 쿵쿵거리며 걸어가는 것 등과 같은 행동들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런 표현을 할 때 부모들은 속이 상하거나 화를 내면서 혼내주기 쉽다. 그런데 문제는 부모의 이런 반응을 알면서도 다시 같은 행동을 반복해서 하는 것이다. 이런 반복되는 상황에 부모는 자기도 모르게 자녀의 요구에 거절하는 것을 주저하거나 방관하게 된다. 결국 자녀는 부모에게 심한 스트레스를 주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는 것이다. 이런 함정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그 행동을 혼내주거나 흥분하기보다는 침착하게 무시하는 것이 오히려 도움이 된다.

둘째, 부모에게 죄책감을 일으켜 자신의 요구를 관철하는 방법이다.
부모에게 죄책감을 주면 부모는 미안함을 느끼게 되고 보상하려는 행동을 하게 되는데 자녀들은 이런 약점을 이용하는 것이다. 가령, 자신이 사고 싶은 것을 사주지 않는다고 부모가 자신을 사랑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불평을 하는 것, 엄마(아빠)가 아빠(엄마)에게 그렇게 힘들게 하지 않았다면 아빠가 집을 나가지 않았다고 말하는 것, 엄마(아빠)는 나를 위해서 시간을 내 준적이 없다고 불평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런 자녀에 대해서 자녀의 불평이 사실이라면 인정을 하되 그 사실 때문에 결코 함정에 빠지지 않아야 한다. 반면에 변명은 별 의미가 없다.

셋째, 부모를 협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부모의 좋은 의도나 기대를 이용하거나 혹은 부모의 실수를 악용하는 방법이다. 가령, “집을 나가겠다,” “경찰에 보고하겠다,” “죽겠다,” “ 학교를 그만두겠다” 등을 들 수 있다. 부모들은 이런 협박을 받을 때 상황이 보다 심각해질까 싶어 자녀가 원하는 것을 주게 되는데 일단 이런 함정에 빠지게 되면 쉽게 빠져나오기가 쉽지 않다. 이럴 때 자녀에게 그 의도를 알고 있다는 것과 어떤 협박으로도 부모의 의지는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분명히 해두어야 한다.

넷째, 부모를 지치게 하여 항복하게 하는 것이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관철하기 위해서 부모가 항복할 때 까지 같은 요구를 반복해서 구걸하고 애원하는 것이다. 이런 자녀들은 “ 예전에도 그랬는데 왜 이제는 안돼요,” “이번만,” “ 두 번 다시 요구하지 않을께요”와 같은 말을 주로 사용한다. 부모는 이런 자녀에게 부모의 뜻이 분명하고 변함이 없다는 것을 말해야 한다.

다섯째, 자신의 부모는 다른 부모와 다르다는 것과 잘못됐다는 것을 느끼게 하는 방법이다.
가령, “아빠는 정말 구식이네요,” “나만 우리 반에서 스마트 폰을 갖고 있지 않아요” 등과 같은 말과 같이 내 부모는 다른 부모와 다르며, 잘못됐다는 것을 지적하는 것이다. 부모는 이런 자녀에 대해서 다르기 때문에 결코 잘못된 것이 아니며 오히려 다르기 때문에 존중해주어야 한다는 생각을 말해줌으로서 함정에 빠지지 말아야 한다.

여섯째, 부모를 많은 사람들 앞에서 당황스럽게 하는 방법이다.
주로 어린 자녀들이 쓰는 방법으로 자신이 원하는 물건을 사주지 않는다고 길바닥에 주저앉아 운다거나, 조용한 식당에 큰 소리로 불만을 이야기하는 것 등이 대표적인 예 일 것이다. 이런 자녀에 대해서 부모는 미리 상황을 인식하고 미리 자녀가 어떤 행동을 보일 것인지 말해주어 부모가 자녀의 수법을 알고 있으며, 만약 그런 행동을 보인다면 그에 상응하는 댓가를 치를 것이라는 것을 말해주는 방법을 사용할 있다.

위와 같이 자녀들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다양한 방법을 사용해서 부모를 조정하려고 할 때 부모들은 상황에 조절당하기 보다는 상황을 조절할 수 있는 힘이 부모에게 있음을 인식하고 냉정하게 대처해야 한다. 부모가 흥분하거나 기피하거나 굴복할 때 자녀들은 부모의 반응 방식을 알고, 또 다시 부모의 약점을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부모는 자녀가 자신의 요구를 관철하기 위해서 어떤 방법을 쓰고 있는지 미리 간파할 필요가 있고, 자신의 생각과 태도를 분명히 해야 하며, 필요할 때 과감하게 행동으로 대처해야 한다.

Tagged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