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들이 책임감을 갖고 행동하도록 가르치고, 자신이 귀중한 존재임을 알며며, 사랑받고 있다는 것을 느끼도록 가르치는 것은 훈육에서 있어서 메우 중요한 요소들이다. 자녀의 교육에 있어 이런 요소들이 중요시 될 때 소속감이나 힘에 대한 욕구 때문에 나쁜 친구들과 어울리거나 마약이나 술과 같은 부정적인 것들에 쉽게 말려들지 않는다. 다음은 위에 언급한 책임감, 자존감을 키우고 사랑받는다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지도하는 방법들이다.
하나, 자녀와 보내는 시간의 양보다 어떻게 시간을 보내느냐는 질적인 시간이 보다 중요하다.
항상 시간에 쫏기는 요즘 부모들은 자칫 자녀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순간 마저도 다른 생각이나 다른 행동을 함으로서 온전히 자녀의 행동과 말에 몰두하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다. 심지어 자녀들의 의사를 무시하거나 못들은 척하는 경우도 있다. 부모의 관심을 받고자하는 것이 자녀들이 갖는 가장 큰 욕구임을 감안할 때 자녀와 질적인 시간을 갖는 것은 사랑받는다는 것을 느끼게 할 수 좋은 방법이다.
둘, 말보다는 행동을 통해서 지도한다.
통계에 의하면 하루 동안 부모가 자녀에게 하는 말들 중에 요구하는 단어가 2000개가 넘는다고 한다. 당연히 자녀들은 부모를 잔소리 꾼으로 인식하고 부모의 말을 귀 담아 듣지 않는다. 자주 지적하고 요구하고 나무라기 보다는 한 번의 행동으로 보이는 것이 효과적이다. 가령, 빨래 바구니에 양말을 말아서 넣지 말라고 열번 말하기 보다는 있는 그대로 세탁해서 보여주는 것이 때로는 더욱 효과적이다.
셋, 자녀들이 자신이 강하다는 것을 느끼도록 지도한다.
만약 자녀들이 부모 앞에서 무력하다는 것을 느낀다면 자녀들은 부적절한 방법으로 자신의 힘을 행사하려고 한다. 자녀들이 자신이 강하다는 느끼게 하는 방법들 중에는 자녀들의 의사를 물어보고, 조언을 청하며, 선택을 부여하며, 부모를 도와주도록 부탁하는 것 등이 있다. 반대로 때로는 지나친 애정으로 자녀가 할 수 있는 것 마저도 부모가 해주게 된다. 자녀들은 결국 자연스럽게 자신이 무력하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넷, 자녀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한 결과를 통해서 배우도록 한다.
이 상황에서 내가 만약 개입하지 않는다면 무엇이 일어날까? 스스로 자문해보자. 개입할 필요가 없는 상황에서 개입하게 된다면 자녀들로부터 스스로 배우는 기회를 박탈하게 된다. 가령, 자녀가 점심을 잊고서 가져가지 않았다면 갖다 줄 필요가 없다. 스스로 해결하는 방법을 찾게 되도록 내버려두는 것이 좋다.
다섯, 자녀들의 행동 결과가 자녀나 부모에게 큰 손해를 준다면 논리적인 방법을 통해서 해결한다.
가령, 자녀가 비디오를 빌려와서 제 때에 반납하지 못해 큰 손해를 주게 된다면, 부모가 대신 반납을 하되 자녀의 용돈에서 공제하는 방법을 쓸 수 있다.
여섯, 자녀와 직접적인 충돌을 피한다.
자녀가 부모에게 화를 내거나 불손한 말로 부모를 시험할 경우나 부모가 상황을 냉정하게 대처하기 힘들 경우는 그 상황을 일단 떠나는 것이 좋다. 화가 난 상태에서 자녀를 혼내주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일단 상황이 잠잠해지고 난 후 문제를 다시 다루어도 늦지 않다.
일곱, 행동과 자녀를 구분한다. 자녀가 잘못을 했을 경우 자녀가 나쁘다는 말을 하기 보다 행동이 나쁘다는 것을 지적한다.
자신이 무슨 행동을 하든지간에 무조건적으로 사랑을 받을 때 자녀들은 자신이 귀중하다는 것을 느낀다. 따라서 자녀를 미워하기 보다는 잘못된 행동을 지적해야 한다. 같은 맥락에서 사랑을 철회함으로서 자녀를 교육하는 것은 잘못된 방법이다.
여덟, 규칙에 대해서 부드러우면서도 확고한 자세를 갖는다.
가령,자녀가 적절하지 못한 옷을 입고 나가려고 한다면 옷을 갈아 입을 것을 권고하지만 말을 듣지 않을 경우 나가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아홉, 자녀들이 언젠가는 어른이 되었을 때 어떻게 행동하기를 원하는지를 생각하면서 자녀를 지도한다.
부모들은 문제가 일어났을 때 상황을 즉시 통제하려고 극단적인 방법을 쓰기 쉽다. 자녀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를 염두해두고 자녀를 대해야 한다. 가령, 자녀의 잘못에 대해서 뺨을 때린다면 자녀들은 남이 잘못했을 때 폭력적인 방법을 답습할 수 있다.
열, 일관성을 갖고 지도해야 한다.
일단 합리적인 방법으로 규칙이 정해졌다면 끝까지 일관성있게 적용해야 한다. 자녀들은 부모가 말한 것이 변함없다는 것을 알게 될 때 규칙을 존중하게 된다.